목록python (59)
rueki
이전 시간까지 사용자 정의 함수와 lambda, 내장함수 몇 가지 등을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기타 내장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복습 개념 함수의 종류 : 사용자 정의함수, 외장함수, 내장함수, 외장 모듈 및 패키지... 1. char(), ord() 아스키 코드와 관련된 함수로는 아래와 같다. char(숫자) -> 아스키 코드값에 해당하는 문자나 숫자 ord(관련 문자나 숫자) -> 아스키코드값 print(chr(65)) #A print(ord('A')) #65 2. all(), any() 리스트 및 튜플 등의 원소값이 True / False인지 나타낸다. all(리스트/튜플/집합) : 값이 모두 True 조건이면 True any(리스트/튜플/집합) : 값중 하나라도 True 조건이면 True Fl..
파이썬에서 가장 강력한 함수가 무엇이냐라고 하면 lambda 함수라고 할 수가 있다. lambda를 이용해서 코드를 한 줄로 간략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람다함수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 함수변수 = lambda 인자 : 명령 def printWord(m): return 'Message ->' + m print(printWord('오늘도 좋은하루')) f1 = lambda x : 'Message ->' + x print(f1('좋은 하루 되세요')) 첫 번째 함수는 이전시간에 익힌 def 사용자 정의함수를 통해서 만든 것이고 두 번째 함수는 lambda를 이용해서 만든 함수이다. 간단한 함수라서 길이는 짧지만 무엇이 더 간단해 보이는가? lambda가 훨씬 코드의 길이를 줄일 수가 있다. 그리고 la..
이번 시간에는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다. 개인적으로 함수을 잘 만들고 못 만들고가, 코딩을 잘하고 못하고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물론 알고리즘 잘 짜면 그것만큼 좋은 것은 없을 것이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명령문의 조합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코딩을 단순화하기 위해 함수를 작성하는데, 함수의 종류로는 내장함수, 사용자 정의함수가 있다. 먼저 배워볼 함수는 사용자 정의함수이다. 함수 선언 구조로는 아래와 같다. def 함수 이름(인자 1, 인자2...): 명령문 return 문 인자의 종류로는 단순인자, 초기값 지정인자, 가변 인자, 딕셔너리 가변인자 등이 있으며, 함수를 호출할 때는 함수 이름(값1, 값2...) 으로 호출하면 된다. 함수를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가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이번 시간에는 조건문에 이어서 반복문에 대해 알아보자. 반복문에는 크게 for문과 while 문이 있다. while 문의 구조로는 while 조건: 실행명령 # 조건이 True 이면 명령을 실행해라 while 문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무한 loop이다. 조건 반복을 끝내는 기준이 없으면 끝없이 반복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break라는 개념은 필수이다. break를 거는 시점에서 반복문에서 탈출을 할 수가 있다. 예를 통해서 알아보자. 1부터 10까지 다 더하는 문제이다. while 문을 이용해서 풀 것인데, break를 거는 조건으로 더하는 숫자가 10이 넘을 경우 반복문을 멈춰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자. cnt = 1 while True: print(cnt, end=' ') cnt += 1 if(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