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15)
rueki
이번 시간에는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다. 개인적으로 함수을 잘 만들고 못 만들고가, 코딩을 잘하고 못하고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물론 알고리즘 잘 짜면 그것만큼 좋은 것은 없을 것이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명령문의 조합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코딩을 단순화하기 위해 함수를 작성하는데, 함수의 종류로는 내장함수, 사용자 정의함수가 있다. 먼저 배워볼 함수는 사용자 정의함수이다. 함수 선언 구조로는 아래와 같다. def 함수 이름(인자 1, 인자2...): 명령문 return 문 인자의 종류로는 단순인자, 초기값 지정인자, 가변 인자, 딕셔너리 가변인자 등이 있으며, 함수를 호출할 때는 함수 이름(값1, 값2...) 으로 호출하면 된다. 함수를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가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이번 시간에는 조건문에 이어서 반복문에 대해 알아보자. 반복문에는 크게 for문과 while 문이 있다. while 문의 구조로는 while 조건: 실행명령 # 조건이 True 이면 명령을 실행해라 while 문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무한 loop이다. 조건 반복을 끝내는 기준이 없으면 끝없이 반복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break라는 개념은 필수이다. break를 거는 시점에서 반복문에서 탈출을 할 수가 있다. 예를 통해서 알아보자. 1부터 10까지 다 더하는 문제이다. while 문을 이용해서 풀 것인데, break를 거는 조건으로 더하는 숫자가 10이 넘을 경우 반복문을 멈춰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자. cnt = 1 while True: print(cnt, end=' ') cnt += 1 if(cn..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서 많이 언급되는 것이 제어문인 조건문과 반복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그 중에서도 조건문인 if 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본적인 구조로는 if ~ else 와 if ~ elif ~ else 이며 다른 언어와의 다른 점이라면 else if가 elif로 사용되고, 무엇보다 탭 1번 혹은 공백 4칸으로 블록을 지정해야한다. 들여쓰기가 없는 경우에는 IndentationError가 발생한다. 그리고 파이썬에서는 Switch 문이 없다. 1. 단순 if 문 구조 if 조건 : 명령문 첫 번째 예제로 두 수 a와 b를 비교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해보자. a = 1 b = 10 if a>b: print('a는 b보다 크다') if a true/false 아이템 not..
이번 시간에는 집합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기본 자료형에는 문자열, 정수, 실수 등이 있었지만, 집합 자료형에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이 있다. 제일 먼저 알아볼 자료형은 리스트이다. 리스트는 다른 여러 데이터 형으로 구성이 가능하며, 순차적 생성을 한다. 리스트 선언은 리스트 변수 = [값1, 값2, ...] 의 구조로 한다. fruits = ['apple', 'banana','peer'] print(fruits) #['apple', 'banana', 'peer'] 여기서 리스트에 요소 추가하는 문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겠다. List.append(원소) movieList = [] movieList.append('harry potter') print(movieList) #harry pot..
첫 날의 수업은 파이썬 설치부터 시작해서 변수명 선언, 연산, 문자열 내용에 관련해서 진도를 나갔다.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제일 먼저 알아야 할 것은 주석달기이다. 파이썬에서의 한 줄 주석과, 전체 주석을 알아보자 #한 줄 주석 달기 (단축키 : ctrl + /) #전체 주석 ''' 내용 ''' C나 C++에서는 '//' 을 한 줄 주석으로 사용하지만, 파이썬은 #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체주석은 ''' ''' 을 사용하면 된다. 다음 알아볼 내용으로는 입출력문이다. print 명령어는 출력 명령어이다. 기본 구조로는 print(값 / 수식 / 변수, end = '대체문자나 공백') 이다. print('Hello World!') #Hello World print(100 + 200) #300 print(100..
텐서플로우에서 제공하는 숫자 이미지 mnist에 대해 알아보자 1.라이브러리 불러오기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시각화를 위한 것 import tensorflow as tf %matplotlib inline #주피터 노트북 안에서 바로 생성 2. 데이터 불러오기 from tensorflow.keras import datasets mnist = datasets.mnist (train_x, train_y),(test_x, test_y) = mnist.load_data() train_x.shape #(60000, 28, 28) - 60000개의 데이터, 28 by 28 이미지 데이터 3. 시각화 해보기 image = train_x[0] ima..
1.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import numpy as np #넘파이 import tensorflow as tf #텐서플로우 2. Tensor 생성, Array 생성 # 넘파이 Array 생성 np.array([1,2,3]) #결과 array([1, 2, 3]) #Tensor 생성 tf.constant([1,2,3]) 3. shape 알아보기, 타입 변경 #Numpy arr = np.array([1,2,3]) arr.shape #tensorflow tensor = tf.constant(arr) tensor.dtype # 출력 : tf.int32 #타입 변경 arr.astype(np.float32) tf.cast(tensor, dtype=tf.float32) 4. 난수 생성하기 Normal distribut..
이번 시간에는 세션 관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로그인을 하고 로그인 한 user의 id를 세션에 넣어보자 def login(request): if request.method == 'GET': return render(request,'login.html') elif request.method =='POST': username = request.POST.get('username',None) password = request.POST.get('password',None) res_data ={} if not (username and password ): res_data['error'] = '모든 값을 입력해야 합니다!' else: user = User.objects.get(username=username) 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