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eki

쿠버네티스 정의 및 사용 개념 본문

쿠버네티스, 도커

쿠버네티스 정의 및 사용 개념

륵기 2022. 2. 21. 14:36
728x90
반응형

쿠버네티스 :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및 확장 등을 관리하는 것을 자동화하기 위한 플랫폼

 

스케일링, 오토 스케일링

컨테이너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여러 쿠버네티스 노드를 관리

쿠버네티스 위에 컨테이너 배포 시 같은 컨테이너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여러 컨테이너(레플리카)를 배포하면 부하 분산 및 다중화 구조 만들 수 있음, 부하에 따라 레플리카 수 오토 스케일링 가능(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

 

스케줄링

컨테이너를 임의의 쿠버네티스 노드에 배포할 때 결정하는 단계로서,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의 특징이나 쿠버네티스 노드의 성능을 기준으로 스케줄링. 

(워크로드는 쿠버네티스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관리

컨테이너 배치 시, 쿠버네티스 노드의 cpu나 메모리의 여유 리소스 상태에 따라 스케줄링 됨. 즉 사용자가 이것을 신경쓸 필요는 없음

 

자동화된 복구(self-healing)

프로세스 정지를 감지 시, 다시 컨테이너 스케줄링 실행하여 컨테이너 재배포

해당 노드가 사라진다 하더라도, 서비스에 영향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짐

 

로드밸런싱, 서비스 디스커버리

멀티 디바이스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주려면, 사용자에게 목적지가 되는 여러대로 구성된 엔드포인트를 준비해야함. 

(부하분산 또는 로드 밸런싱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일종으로 둘 혹은 셋이상의 중앙처리장치 혹은 저장장치와 같은 컴퓨터 자원들에게 작업을 나누는 것을 의미)

 

기능별로 독립된 작은 규모의 애플리케이션을 연계하여 구축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를 사용할 시, 서로의 서비스를 참조할 때 서비스 디스커버리 기능을 통해서 시스템 전체를 쉽게 연계 가능

 

 

728x90
반응형

'쿠버네티스, 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리소스 종류  (0) 2022.02.21
쿠버네티스 환경  (0) 2022.02.21
도커 허브에 이미지 pushing, pulling  (0) 2021.12.31
docker Naming, Tagging Containers  (0) 2021.12.27
docker 컨테이너 자동 삭제  (0) 2021.12.2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