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eki

Kubernetes namespace 본문

쿠버네티스, 도커

Kubernetes namespace

륵기 2021. 11. 19. 00:23
728x90
반응형

네임 스페이스 

: 쿠버네티스는 동일한 물리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가상 클러스터를 지원한다. 이런 가상 클러스터를 네임스페이스라고 한다. (공식문서 정의)

 

하나의 클러스터를 여거 개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는 것을 네임스페이스라고 한다.

네임스페이스의 장점은 해당 네임스페이스에서만 동작되는 것 및 정보를 볼 수가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API를 여러개의 API가 존재하는 것처럼 나누어서 각 API를 관리하기 정말 좋을 것 같다.

 

생성 방법

kubectl create namespace "네임스페이스 이름"

--dry-run : 실행 가능 여부만 확인하기

kubectl create namespace red --dry-run -o yaml

실행 가능 여부에 대해서 yaml파일로 출력해준다. 위의 내용을 yaml 파일로 저장해서 생성해보았다.

아래 방법은 yaml을 통해서 만드는 방법이다.

kubectl create -f red-ns.yaml

 

- 생성한 네임스페이스에 설치해보기

위에서 blue라는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했는데, 이전에 만든 nginx.yaml 파일을 blue namespace에 설치해보자.

-n 옵션을 통해서 namespace를 지정할 수 있다.

kubectl create -f nginx.yaml -n blue

 

namespace switch 하기

default namespace를 다른 이름의 namespace로 바꾸어보자.

이렇게 하기위해서는 config 정보를 만들어서 사용을 해야한다.

kubectl config set-context blue@kubernetes --cluster=kubernetes --user=kubernetes-admin --namespace=blue

kubectl config view를 통해서 config 정보를 보자.

위의 결과사진을 보면 context가 2개가 나와있는데,  현재의 context 사용자 이름을 보면 default user 이름으로 나와있다.

kubectl config current-context

 

이제 여기서 blue의 user로 변경을 해보자.

kubectl config use-context "namespace user name"

kubectl config use-context blue@kubernetes

이렇게 되었으니 pod정보를 출력하면 blue namespace 에 있는 pod만 볼 수 있게 된다.

즉, 현재 default 값이 blue namespace이다.

 

 

728x90
반응형

'쿠버네티스, 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컨테이너 통신  (0) 2021.11.21
도커 컨테이너 Storage  (0) 2021.11.19
도커 컨테이너 리소스 관리  (0) 2021.11.18
도커 컨테이너 실행, 관리 명령어  (0) 2021.11.17
Docker repository 운영하기  (0) 2021.11.17
Comments